목록Etc/GIT (4)
진입장벽 낮추기 (WEB)

1. 원격 저장소 만들기 상단 네비게이션 바에서 오른쪽 [+] 아이콘을 클릭 후, [New repository] 메뉴를 선택합니다. Repository name 을 등록하고 하단의 [Create repository] 버튼을 클릭하면 원격저장소가 생성됩니다. 2. 원격 저장소에 추가하기 원격저장소를 들어가서 해당 표시된 버튼을 클릭하여, 원격저장소의 주소를 복사합니다. 폴더로 돌아와서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 원격저장소의 주소를 알려줍니다. 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orange/project // git remote add origin 깃 저장소 주소 ▷ 원격 저장소의 주소를 origin 의 이름으로 추가하겠다.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원격 저장소의 주소 등..

1. 커밋 기록 보기 ① git log git log ▷ 커밋이 많이 쌓일 경우 Vim 이 켜지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 경우, Esc 키를 누르고 :q 를 입력하여 나갈 수 있습니다. ② git shortlog git shortlog ▷ 커밋 기록을 짧게 볼 수 있습니다. 2. 수정 및 수정 되돌리기 ① 커밋 후 수정 상태 확인 (status) 커밋한 work1.html 파일을 약간 수정해보겠습니다. 'git status' 명령어를 입력하면 modified 부분에 work1.html 파일이 올라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② 수정 되돌리기 git checkout -- work1.html // git checkout -- 작업을 되돌릴 파일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수정된 부분이 되돌아간 것을 볼 수 있습니다..

1. 커밋할 파일 선택하기 ☆ 커밋이란? 개발자가 정한 특정 시점에 작업물의 변화를 메시지와 함께 기록하는 기능 ▼ VS Code work1.html / work2.html / work3.html 총 3가지 작업을 하였습니다. 이 중 커밋할 파일을 선택하기 위해 선택할 파일 옆의 [+] 버튼을 누르겠습니다. (변경 사항의 모든 파일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변경사항에 마우스 를 올렸을 때 뜨는 [+] 버튼을 누릅니다.) 그럼 스테이징된 변경 사항에 파일이 올라온 것을 알 수 있다. ▼ CMD git add work1.html // git add 작업할 파일 스테이징된 변경 사항에 모든 파일을 올리기 위해서는 'git add .' 을 하면 됩니다. git add . 2. 스테이징된 변경 사항에서 내리기 ▼ VS..

1. GIT 설치하기 https://git-scm.com/downloads 해당 사이트를 방문하여 다운받습니다. 2. GIT 설치 여부 확인 git 입력 후 Git 기본 명령어에 대한 안내가 나오면 Git 이 제대로 설치된 것입니다. 3. 로컬 저장소 만들기 ▼ VS Code 위의 버튼 Initialize Repository 을 누르고 숨겨진 폴더를 보이게 설정하면, .git 폴더가 생긴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▼ CMD git init 위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. 숨겨진 폴더를 보이게 설정하면, (폴더 상단의 보기 - 숨긴 항목 체크) .git 폴더가 생긴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이 폴더에는 Git 으로 생성한 버전들의 정보와 원격저장소 주소 등이 들어 있는데, 이 [.git] 폴더를 로컬저장소라고 부릅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