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tc/GIT

[GIT] 커밋하기 (git add/git rm --cached/git status/git commit/.gitignore)

webberrypjh 2022. 5. 26. 01:00

1. 커밋할 파일 선택하기

☆ 커밋이란? 개발자가 정한 특정 시점에 작업물의 변화를 메시지와 함께 기록하는 기능

▼ VS Code

work1.html / work2.html / work3.html

총 3가지 작업을 하였습니다.

 

이 중 커밋할 파일을 선택하기 위해 선택할 파일 옆의 [+] 버튼을 누르겠습니다.

(변경 사항의 모든 파일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변경사항에 마우스 를 올렸을 때 뜨는 [+] 버튼을 누릅니다.)

 

그럼 스테이징된 변경 사항에 파일이 올라온 것을 알 수 있다.

 

 CMD

git add work1.html
// git add 작업할 파일

 

스테이징된 변경 사항에 모든 파일을 올리기 위해서는 'git add .' 을 하면 됩니다.

git add .

 


2. 스테이징된 변경 사항에서 내리기

▼ VS Code

 CMD

git rm --cached work1.html
// git rm --cached 파일

 

이때, --cached 를 안적으면 파일이 지워질 수도 있습니다.

 


3. status 확인 하기

위의 'git add' 과 'git rm --cached' 명령어를 통해

커밋 예정인 파일을 스테이징된 변경 사항에 파일을 올리고 내릴 수 있습니다.

 

스테이징된 변경 사항에 올라온  파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git status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git status

 

VS Code 상태와 비교하여 'git status' 를 알아보겠습니다.

 

▼ VS Code (스테이징된 변경 사항이 없는 상태)

 CMD

 

▼ VS Code (스테이징된 변경 사항에 work1.html 이 올라온 상태)

 CMD

 


4. 커밋하기 (상세 설명 적고 커밋하기)

이제 커밋을 해서 기록해 보겠습니다.

▼ VS Code 

 CMD

git commit -m "작업 1"
// git commit -m "사이트 설명 추가"

 


5. 깃 관리에서 제외하기

비밀번호와 같이 깃에 올라가면 안되는 파일은

.gitignore 파일을 만들어 등록하면, 깃에서 관리안되게 할 수 있습니다.

 

.gitignore 파일을 만들고

work1.html 과 work3.html 을 넣어둡니다.

 

변경 사항에 work1.html 과 work3.html 이 없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 


6. 커밋하기 (Vim 이용해서 상세 설명 적기)

git commit

 

'git commit' 만 입력하면 위 사진과 같이 Vim 화면이 뜹니다.

 

커밋 메시지 (위 사진은 "Initial commit" 입력) 를 입력하고

Esc 키를 누릅니다.

 

그리고 :wq 를 입력한 후 Enter 키를 누르면 커밋이 완료됩니다.

(w - write, q - quit)

 

 

 

 

참고 자료 - 팀 개발을 위한 Git GitHub 시작하기 [정호영, 진유림 지음] (한빛 미디어)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cEg9hiZax8U&list=PLcqDmjxt30RvjqpIBi4mtkK5LkzYtXluF&index=1

댓글수0